레이블이 영산재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영산재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4년 6월 1일 일요일

호국영령과 세월호 희생자 왕생극락을 위한 영산재 유네스코 세계무형문화유산 중요무형문화재 제50호 영산재



유네스코 세계무형문화유산 중요무형문화재 제50호 영산재
호국영령과 세월호 희생자 왕생극락을 위한 영산재
26회 영산재 The Yeongsanjae Ritual
일시 201466일 현충일 ( 59) 오전 10

장소 서울 봉원사 영산재도량
주최 ()한국불교영산재보존회
주관 한국불교태고종 봉원사 전화 02-392-3007~8
후원 한국불교태고종 총무원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재청 국립무형유산원

       옥천법음대학 한국불교신문 한국불교신문 유네스코한국위원회
http://www.bongwonsa.or.kr/

 

 

2014년 4월 16일 수요일

영산재 중요무형문화재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영산재 [ Yeongsanjae , 靈山齋 ]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영산재 [ Yeongsanjae , 靈山齋 ]

한국 불교문화의 중심 요소인 ‘영산재(靈山齋)’는 부처가 인도의 영취산에서 법화경(Lotus Sutra)을 설법하던 모습을 재현한 것이다.

영산재는 불교의 철학적이며 영적인 메시지를 표현하고 있으며, 영산재에 참석한 사람들은 스스로를 수양한다.

영산재는 하늘과 땅의 영가(
靈駕)와 모든 성인(聖人)을 맞아들이는 의식에서 시작하여 부처의 영적 세계의 사고 방식을 표현하는 봉송(奉送) 의례로 마무리된다.

봉송 의례에는 노래, 의식적 장식, 바라춤, 법고춤, 나비춤과 같은 불교 의식 무용이 거행된다.

이 의례에는 또한 정제의식, 차례, 부처와 보살들에게 식사를 공양하는 것, 참석자들이 진리의 문에 들도록 하는 법문, 죽은 자가 극락에 들도록 하는 시식(
施食)이 포함되어 있다.

서울 지역에 근거한 한국 불교인 태고종에 의하여 주로 보존되어 온 영산재는 한국 전역의 사찰에서 열린다.

영산재는 참석한 모든 이들에게 부처, 불법을 깨달고 승려를 숭앙하여 진리의 세계에 들도록 하는 것을 돕고 있다.

이 의례는 가치와 예술적 형태를 전승하고 참선, 수행 및 깨달음에 있어서 중요한 장이 되고 있다.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봉원동 1번지에 위치한 봉원사(태고종)가 중심이 되어 한국의 모든 사찰에서 거행된다

출처 유네스코,인류무형문화유산(/불어 원문) 유네스코한국위원회(번역 감수) 자료인용


유네스코 세계무형문화유산 중요무형문화재 제 50호 영산재


















영산재 불교에서 영혼천도를 위하여 행하는 종교의식
중요무형문화재 제 50호 유네스코 세계무형문화유산 영산재
현충일 신촌 봉원사 영산재 봉행 사진
사진박은사람 몸저생사

2014년 3월 23일 일요일

2014년 3월 9일 일요일

유네스코 세계무형문화유산 중요무형문화재제50호 영산재 봉행사진










매년 현충일(66)
신촌에 있는 봉원사에서 중요무형문화재 제50(1973115일 지정),
유네스코 세계무형문화유산(2009930일 등재) 영산재[
靈山齋]를 대한민국을 위해 순국하신
순국선열과 호국영령들에 대한 천도재로 영산재를 봉행합니다

순국선열 [殉國先烈]
나라를 위()하여 목숨을 바친 선조(先祖)의 열사(烈士)

호국영령 [護國英靈]
목숨을 바쳐 나라를 지킨 명예로운 영혼

-네이버 어학사전 인용


유네스코 세계무형문화유산 중요무형문화재제50호 영산재 봉행사진
사진박은사람 몸저생사


2014년 3월 8일 토요일

유네스코 세계무형문화유산 영산재 현충일 신촌 봉원사 영산재 봉행 장면







































유네스코 세계무형문화유산 영산재 현충일 신촌 봉원사 영산재 봉행 장면
사진박은사람 몸저생사